본문 바로가기

SOUND & VISION

악마를 보았다(2010): vision& sound


VISION
약혼녀를 잃은 슬픈으로 더 큰 고통을 안겨주기로 결심하고 복수를 해나가기 시작해 그 복수가 상식의 선과는 거리가 멀고 철처하게 인간 본성의 밑바닥까지 들어가있는 파괴본능을 실제로 행하고 있다는 것이 영상을 통해 전달되는 잔혹한 살인의 광경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현재 이러한 잔인한 장면때문에 개봉 전부터 화제가 되었고 개봉 후에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슬래셔적인 접근법에서 보면 기존에 나와 있는 영화들과 별다른 점은 없다. 그러나, 한국정서에서 나온 한국영화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당히 받이들이기 힘든 장면일수도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선과 악의 경계는 모호지지만 결국 본인을 포함한 가족에게 그 결과는 평생의 상처로 남는다는 것을 마지막에 보여주고 있다. 뭐 그런 장면들에서 결국 인간의 보잘 것없는 나약함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이 영화는 결국 아주 진한 남자의 시선에서 그려진 편혐함이 보는 여성들에게는 대단히 불쾌할 수 있다.

SYNOPSIS
국정원 경호요원 ‘수현(이병헌)’은 약혼녀 주연이 잔인하게 살해당하자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사람을 지켜내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분노로 가장 고통스러운 복수를 다짐한다. 수현은 연쇄살인마 ‘장경철(최민식)’이 범인임을 알아내고 죽을 만큼의 고통만 가하고 놓아주기를 반복하며 처절한 응징을 시작한다.
그러나, 악마보다 더 악랄한 살인마 장경철은 난생 처음 만난 대등한 적수의 출현을 즐기며 반격에 나서기 시작하는데…
장경철
살인을 저지르면서 죄책감이나 죄의식 같은 건 없는 존재다. 이번 영화에서의 캐릭터 전혀 새로울 것 없는 이전의 최민식이 분한 캐릭터들과 별반 다를바 없는 캐릭터설정이다. 그래서 그런지 이 영화를 통해 이전의 출연작들이 생각나며 몰입감은 비교적 떨어지고 있다. 공격적인 성향이 SEX를 통해 드러나고 그 후엔 살인으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캐릭터이며 이중적인 다중성격분열보다는 한가지에 몰입해 전형을 보여주는 캐릭터로 묘사되고 있고 이 영화를 통해 최민식과 말을 섞은 인물들은 전부 죽는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죽이는데 정말 열성적이고 출연한 여자 배우들은 최민식에 의해 전부 옷이 벗겨지는 일관성도 유지하고 있어 단순하며 일관적인 캐릭터의 진행이 극의 몰입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최민식이라는 점에서 다른 영화가 자꾸 보이고 있다. 

수현
국정원 소속의 살인병기로 표현해야 더 적극적인 캐릭터설명이 될듯 하다. 하지만 이병헌 역시 달콤한 인생에서의 강사장에게 모욕감을 준 선우 캐릭터가 겹쳐진다. 다만 이번엔 총보다 더 잔인한 방법들이 총동원된다. 냉정하고 우월한 격투실력을 선보이고 있다. 국정원이라는 대단한 권력을 자신의 복수를 위해 지나치게 남용하고 있는 점이 극의 전반적인 현실성을 조금 어지럽게 만든다.

주요출연진 이외에 유일하게 살아남게 되는 여성캐릭터 간호사 한송이가 카메라 앞에 뒷모습으로 잡혀있다. 또다른 여성캐릭터인 세정은 태주와 함께 악의 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외한다. 간호사 명찰덕에 영화 속에서 이름 한번 불리지 않는 캐릭터들에 비해 정확하게 이름을 기억할 수 있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물론 몹쓸 짓을 잠시 당하기는 하지만 사지가 무탈하게 살아있게 되었으니 그 정도면 그나마 좋은 배역이라 할 수도 있다.

2인조 택시강도까지 칼하나로 간단하게 제압하는 광기어린 장경철은 우습게 두명을 달리는 차 속에서 제압하고 유유히 사라질 정도로 타고난 살인본능과 실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단순히 겁이 질린 약한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않다는 점에서 이 괴물같은 살인자캐릭터는 더욱 잔인하다.

이 영화에서 드러나는 속도감 없는 편집이 영화의 진행에 있어 지나치게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장치로만 등장하는 안타까운 씬이 두군데에서 결정적으로 드러나는데 마지막 복수를 위해 연희동집으로 찾아가는 장경철에게는 시간이 너무 여유로워 보인다는 것이다. 경찰이 출동하고도 남을 시간이라는 상식에서 본다면 경찰이 늦게 도착하게 되는 장치를 마련했어야만 했고 마지막 장경철이 자수하는 장면에서는 편집이 지나치게 느리다는 점이다. 거기에 수현을 기다려준 경찰들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느린 진행과 추적차량의 부재는 지나치게 주인공의 캐릭터를 지나치게 심화하기 위함으로 보여진다.
결국 두 악마를 위해 시간과 상식은 지나치게 무시되어 보인다. 실제로도 존재할만한 살인캐릭터에 비해 배경들은 좀 엉성하다는 것이다. 이는 심의를 위해 편집삭제당한 씬에서 세정과 장경철의 관계도 충분히 설명하기에 일언반구 없이 들리지만 암시적으로 "이것들이 돌려먹어"라는 대사를 들었다면 아주 조금 유추해낼 수 있는 키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 자삭한 장면들이 DVD로 발매할때는 꼭 들어가길 바란다.

SOUND
악마를 보았다에서 또다른 중요한 장면은 바로 장경철이 기타를 치는 뒷모습이다. 바로 이 노래가 장경철을 설명하는데 결정적인 복선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미국의 구전가요를 편곡하여 발표한 ERIC BURDEN의 밴드 THE ANIMALS에 의해 크게 인기를 얻는 한글해석명 "해뜨는 집"으로 잘 알려진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의 전주부분을 연주하는 장면으로  장경철의 가족관계와 그 캐릭터를 뽑아내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자세한 곡의 내용은 http://blog.daum.net/1288/1163?srchid=BR1http%3A%2F%2Fblog.daum.net%2F1288%2F1163 에서 가사와 해석된 그 내용으로 영화감상시 활용하면 좀더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장경철의 기타연주곡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이 가장 잘알려진 THE ANIMALS